미국 대선과 코로나19 팬더믹 때문에 국내 주식 시장이 참 혼란스러운데요, 은행 금리가 너무 낮아서 우량 기업에 투자를 하는게 멀리 보았을 때 더 좋을거 같아서 삼성전자, 한국전력에 투자를 조금씩 늘리고 있는데, 혼란스러운 경제정책 때문에 주가는 오르락내리락 하루하루가 힘들지만, 그래도 우량회사를 믿고 장기투자가 낮겠다 싶고, 우선 시가총액이 높은 삼성전자, 절대 망하지 않을거 같은 한국전력 두가지 회사는 장기투자로는 꽤 좋은 기업이라 생각이 드네요.
오늘은 장기, 단기 투자를 하는 분들 모두가 거래를 할 때 꼭 거치는 주식 매도 매수 수수료 세금 계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요즘 대주주 요건에 대한 정책의 혼란 때문에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데요 오늘자 뉴스를 보니, 대주주 요건이 10억 그대로 유지가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아직 완벽한 결정이 아니기 때문에, 가족 투자액 모두 합산하여 3억원 이상이 되면 양도 소득세 관련해서도 신경을 써야겠더라고요.
뭐 저처럼 소액 투자를 하는 개미 투자자 분들은 세부담이 조금은 줄어 들거라 예상이 됩니다 .하지만 멀리 장기투자를 하는 입장에서 기업이 좋아져서 3억 이상이 쌓이는 꿈을 가지고 있는지라, 그래도 3억 이상은 되었으면 합니다.
현행 주식 매도 매수 수수료 관련해서 해외주식투자는 250만원을 초과한 수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 22%를 부과했고 거래시 자동으로 부과되는 국내주식과 달리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투자자가 스스로 관할 세무서나 홈택스를 통해 신고 해야 한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간혹 잊고 신고를 하지 하지 않아서 세금 누락으로 추가 세금이 부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답니다.
특히 주식 매도 매수 수수료 세금 계산 관련하여 순수익만 3억원을 넘게 벌었으면 5천만원을 공제하고 예를 들어 벌어들인 수익이 4억이라면 5천만원을 공제한 3억 5천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에 주식세금이 붙는답니다. 3억원을 넘었기 때문에 초과액에 대한 세금 25%가 붙는 것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세금을 많이 내지만 그래도 수익을 많이 벌었기 때문에 그정도는 내야 하는 것 이다라는 것이 이번 개편의 주요 내용 이랍니다.
예를 들어서 오천만원의 손해가 있고 또 오천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최종적으로 수익은 0이기 때문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는 말이고 최근 5년의 주식거래 내용을 이월시킬 수도 있고 합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금의 부담이 무작정 늘어난 것은 아니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은데, 단순히 3억 이상 투자 했다고 세금이 부과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너무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으로 누구나 내는 것은 아니고 종목당 10억원 이상 주식을 보유한 대주주만이 과세대상이었고 유가증권 시장의 경우에는 지분율 1%를 가지고 있는 사람 그리고 코스닥은 2% 이상 보유한 경우에도 대주주로 해당되고 매도할 때 시세차익이 발생했을 때 양도소득세를 부과했답니다.
주식 매도 매수 수수료 세금 계산 더 알아보면 주식세금 변화에 대해 미리 준비를 하거나 종목 정리를 하게 되면 나중에 세금이 많이 나올 일도 없고 특히 3억원 이상의 구간에 해당되는 분들은 관리를 잘 하고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를 하게 되었을 때 손해가 나는 곳도 있고 수익이 나는 부분도 있을 때 이러한 것들을 잘 따져본다면 세금을 크게 내지 않고도 수익을 가져갈 수 있기도 합니다.
합산했을 때 마이너스라면 세금이 전혀 부과되지 않고 순수익이 생겼다고 해도 5천만원 이하라면 세금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잘 따져보면 무조건적으로 세금을 내는 것은 아니고 많이 투자해서 돈을 많이 벌게 되면 그만큼 세금도 많이 내야 한다는 것을 변함이 없고 최근 5년동안을 총 합산하여 순이익이 5천만원 이상이면 양도세 대상자가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주식 매도 매수 수수료 세금에 대한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는데, 현재 기존 10억 대주주 그대로 간다는 소식이 있으니, 불안해 하는 분들은 조금 기다려 보는것도 좋을 듯 하며, 제가 투자한 두 기업 배당금이 예상되는데요, 한국전력은 11월, 삼성전자는 2021년 1월 정도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하는데 꼭 나왔으면 좋겠네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자 및 변경안 확인하기 (0) | 2020.11.30 |
---|---|
사망보험금 상속세 체크해 보세요 (0) | 2020.11.20 |
주식 거래세율 변화가 많을듯 (0) | 2020.10.28 |
재산세 산정방법 그리고 기준별 세율 (0) | 2020.10.26 |
굴의 효능과 부작용 8가지 확인하고 먹자 (0) | 2020.10.23 |